-
Spring Core - 쓰레드 로컬 동기화(적용, 주의사항)FrameWork/Spring&Spring-boot 2024. 3. 6. 09:12
쓰레드 로컬 동기화(적용)
package com.spring.core; import com.spring.core.logTrace.LogTrace; import com.spring.core.logTrace.ThreadLocalLogTrace;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Bean;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Configuration; @Configuration public class Configration { @Bean public LogTrace logTrace(){ // return new FieldLogTrace(); return new ThreadLocalLogTrace(); } }
동시성 문제가 있는 FieldLogTrace 대신에 문제를 해결한 ThreadLocalLogtrace를 스프링 빈으로 등록하자
동시 요청
동시성 문제 확인
다음 로직을 1초 안에 2번 실행해 보자.
- http://localhost:7000/v3/order?itemId=hello
- http://localhost:7000/v3/order?itemId=hello
정상 실행 로그
로그를 확인해보면 각각의 쓰레드 nio-7000-exec-5, nio-7000별도 로그가 정확하게 나누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쓰레드 로컬 - 주의사항
쓰레드 로컬의 값을 사용 후 제거하지 않고 그냥 두면 WAS(톰캣)처럼 쓰레드 풀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다음 예시를 통해 알아보자.
사용자A 저장 요청
- 사용자A가 저장 HTTP를 요청했다.
- WAS는 쓰레드 풀에서 쓰레드를 하나 조회한다.
- 쓰레드 thread-A가 할당되었다.
- thread-A는 사용자A의 데이터를 쓰레드 로컬에 저장한다.
- 쓰레드 로컬의 thread-A전용 보관소에 사용자A데이터를 보관한다.
사용자A 저장 요청 종료
- 사용자A의 HTTP 응답이 끝난다.
- WAS는 사용이 끝난 thread-A를 쓰레드 풀에 반환한다. 쓰레드를 생성하는 비용은 비싸기 때문에 쓰레드를 제거하지 않고, 보통 쓰레드 풀을 통해서 쓰레드를 재사용한다.
- thread-A는 쓰레드풀에 아직 살아있다 따라서 쓰레드 로컬의 thread-A전용 보관소에 사용자A 데이터도 함께 살아있게 된다.
사용자B 조회 요청
- 사용자B가 조회를 위한 새로운 HTTP 요청을 한다.
- WAS는 쓰레드 풀에서 쓰레드를 하나 조회한다.
- 쓰레드 thread-A가 할당되었다.(물론 다른 쓰레드가 할당될 수 도 있다.)
- 이번에는 조회하는 요청이다. thread-A는 쓰레드 로컬에서 데이터를 조회한다.
- 쓰레드 로컬은 thread-A전용 보관소에 있는 사용자A값을 반환한다.
- 결과적으로 사용자A 값이 반환된다.
- 사용자B는 사용자A의 정보를 조회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사용자B는 사용자A의 데이터를 확인하게 되는 심가간 문제가 발생하게된다.
이런 문제를 예방하려면 사용자A의 요청이 끝날 때 쓰레드 로컬의 값을 ThreadLocal.remove()를 통해서 꼭 제거해야 한다.
[출처 - 스프링 핵심원리-고급편, 저 김영한]
'FrameWork > Spring&Spring-boot'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Core - 템플릿 메서드 패턴(예제3, 적용1, 적용2) (0) 2024.03.06 Spring Core - 템플릿 메서드 패턴(시작, 예제1, 예제2, 정의) (1) 2024.03.06 Spring Core - 쓰레드 로컬(동시성문제2) (0) 2024.03.05 Spring Core - 쓰레드 로컬(필드 동기화, 동시성 문제1) (0) 2024.03.04 Spring Core - 로그 추적기(V2 파라미터로 동기화 개발) (0) 2024.0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