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지식/네트워크
-
네트워크3 - 네트워트 데이터 전송과정, DNS, 와이어샤크CS지식/네트워크 2024. 7. 16. 12:43
1.내 컴퓨터 ➡️ 다른 컴퓨터로 데이터가 전송되는 전체 과정1.1. 클라이언트 컴퓨터에서 출발 목적지 ip를 알고 있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다른 컴퓨터를 naver 서버라고 가정하면, naver의 서버 컴퓨터를 알고 있는 이유는 naver의 도메인을 를 DNS Resolver의 변환을 이용해서 naver 서버의 ip를 알 수 있기때문이다. 하지만 다른 컴퓨터에 보낼 프레임 데이터를 보낼때 목적지의 MAC 주소를 알기는 어려움으로 일단 해당 컴퓨터가 속한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라우터의 MAC주소를 목적지로 설정해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러면 해당 데이터가 바로 naver 서버 커퓨터로 가는 것이 아니라 일단 MAC주소에 해당하는 라우터로 간다. 1.2. 네이버 서버 MAC 주소에 도달하는 과정 라..
-
네트워크2 - OSI 7 Layer(전송계층, 응용계층, 총정리)CS지식/네트워크 2024. 7. 13. 15:00
1. 전송계층(L4,Transport)전송계층의 대표적인 프로토콜에는 TCP(Transmission ControlProtocol)과 UDP(User Datagram Protocol)이있다. 1.2. Port(포트)포트의 역할프로세스 식별 : 각 네트워크 연결에서 종종 여러 개의 프로세스 또는 애플리케이션이 동시에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포트 번호는 IP 주소와 함께 사용되어 각 데이터 패킷(네이트워크 계층에서 전송된다.)이 정확한 대상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 될수 있도록한다.이때 사용되는 port는 주소로써의 기능이 크고 구체적으로 처리가되는 곳은 응용계층이다.멀티태스킹 : 단일 기기에서 다수의 네트워크 서비스가 동시에 실행될 때, 각 서비스는 고유한 포트 번호를 할당받아 외부와의 통신을 관리한다. 예..
-
네트워크 1 - OSI 7 Layer(물리계층,데이터 링크 계층, 네트워크 계층)CS지식/네트워크 2024. 7. 13. 13:20
1.물리 계층(L1, Physical) 1.1. LAN선, 전기신호 LAN선을 통해서 전기신호를 주고 받는다. 컴퓨터가 위과 같은 전기 신호 파장의 높낮이를 구분해서 신호의 파장이 높으면 1, 낮으면 0으로 구분한다. 1.2. LAN 카드LAN선이 전기신호를 받으면 이 신호를 구별해서 0,1로 바꾸는 작업을하는 하드웨어 장치는 LAN카드이다. 반대로 컴퓨터에 저장되어 있는 0,1을 전기신호로 바꿔준다. 물리계층에서 하는 일은 컴퓨터에 0,1로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들을 전자신호로 바꾸어서 다른 컴퓨터에게 전송하는 것이다. 1.3. Parity bit 패리티 비트데이터 전송 과정에서 오류를 검출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삽입되는 비트이다. 데이터의 비트를 모두 합산하여 그 합이 홀수가 되도록 하거나 짝수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