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버 기술 기초 요약 - 리눅스 쉘 사용법 5CS지식/운영체제 2022. 5. 1. 15:55
우분투 패키지 관리
도커에서 image를 만들때 리눅스 image를 만들 것이고, 여기에 여러가지 프로그램을 설치해야한다. 그래서 우분투로 해당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알고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원래는 리눅스 운영체제는 리눅스 커널이라는 핵심 운영체제 프로그램과 함께 사용자에게 명령을 받을 수 있는 bash 쉘외에도 여러가지 프로그램들 파일들이 하나로 묶여진 set이다.
이런 set의 합을 어떻게 만드느냐에 따라 여러가지 배포판이 생겨나는 것이다.
ubuntu 배포판
- 다양한 배포판 중 하나
- 데비안 배포판을 기반으로 캐노티컬사가 우분투 배포판 개발
- 데비안 배포판은 apt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소프트웨어 설치 및 업데이트를 간편하게 한 패키지
- 우분투 의미 : 남아프리카 부족 언어로 '너가 있으니 나도 있다' 라는 의미
- 우분투 데스크탑 배포판(X윈도우 기반, GUI환경 기본 제공)과 우분투 서버 배포판, 두가지 기본 배포판을 제공
- 지원 기간이 짧은 일반 버전과 지원기간이 장기(5년)인LTS(Long Term Support)버전으로 나눠서 발표
ubuntu 패키지 관리자
- CentOS나 Fedora 과 같은 RedHat 계열 배포판은 RPM이라는 패키징 시스템을 사용함
- ubuntu와 같이 데비안 계열 배포판은 deb라는 패키징 시스템을 사용함
- 패키지와 패키지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패키지 저장소라는 개념을 가지고 있음
- 소프트웨어 패치, 추가등 정보를 관리
- 우분투 사용자가 패키지 관리자를 통해 패키지 저장소에 접근하면, 소프트웨어 변경사항을 알려주고 업데이트, 다운로드등을 지원
ubuntu 패키지 관리 실무
- ubuntu 패키지 인덱스 정보 업데이트(배포판 버전에 따른 패키지 업데이트 버전 정보 등)
#sudo apt-get update
- 설치된 ubuntu패키지 업그레이드(함부로 하지 마세요)
#sudo apt-get upgrade
시스템 자체를 망가트릴 수 있다.ubuntu 운영체제의 각 프로그램이 저장된 위치들이 있을 것이다. 이 위치 정보에 대한 list를 관리하고 있다. 심지어 이 list에 다가 추가적으로 특별한 프로그램을 위해서 특별 프로그램이 저장된 위치를 추가 할 수도 있다.
그렇게 위치가 추가 하려면, 기존 각각의 프로그램의 위치에 접속을 해서 프로그램의 버전이 각각 어떻게 되는지, 어떤 프로그램들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받아와야 한다. 이것을 패키지 index 정보라고 한다.
우분투를 설치를 하면 맨 처음 할 일은 패키지 index 정보를 update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우분투안에 정말 많은 프로그램들이 있고, 그 프로그램들이 언제 어떻게 update 될지 모르기 때문에, 우분투 운영체제를 설치하고 한번 일괄 update를 해야주는 것이 좋다.
시스템이라는 것은 각각의 다양한 프로그램이 다 정상적으로 동작을 해야 정상적으로 굴러간다. 근데 upgrade라는 명령은 index 정보를 기반으로 해서 현재 리눅스 우분투에 설치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다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하라는 이야기 이기 때문에, 그 중에 어떤 것이 그 업데이트로 인해 잘못 동작하게 되면, 시스템 전체가 망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 패키지 설치
# sudo apt-get install 패키지명
패키지 명이 각 프로그램 마다 다르다. 패키지 명을 찾는데, 검색을 해서 찾아야 할 때도 있다. 패키지 명이 정확해야 하기 때문에, 저장된 위치마다 패키지 명이 조금씩 다를 수도 있다.
- 패키지 삭제(설정파일 제외)
# sudo apt-get remove 패키지명
- 패키지 삭제(설정파일 포함)
#sudo apt-get --purge remove 패키지명
'CS지식 > 운영체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영체제 - OS, Operating System (0) 2023.11.02 서버 기술 기초 요약 - 리눅스 쉘 사용법 6 (0) 2022.05.01 서버 기술 기초 요약 - 리눅스 사용법 이해 4 (0) 2022.05.01 서버 기술 기초 요약 - 리눅스 쉘 사용법 이해 3 (0) 2022.05.01 서버 기술 기초 요약 - 리눅스 쉘 사용법 이해 2 (0) 2022.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