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리눅스2 -리눅스의 모태가 된 유닉스CS지식/운영체제 2022. 1. 7. 13:07
오픈소스 유닉스의 탄생
유닉스가 탄생한이후 얼마 되지 않아서 유료화 된다. 그리고 그 유료화에 대한 반발을 사게 되는데. 무료버전에 유닉스를 만들고자하는 움직임이 일어난다.
UNIX의 상업화
1984년 7개의 회사 (Verizon,Qwest,SBC Communication,Lucent..)로 분리된 AT&T
컴퓨터 시스템 판매 금지를 당한 AT&T
USL(UNIX System Laboratories) -> SCO(Santa Cruz Operation)
온전한 컴퓨터 제품을 만들어 팔 수는 없었짐나 소스코드는 팔 수 있었음.
↓↓↓
운영체제 인터페이스를 표준화하기 시작함.
Portable Operation System Interface(POSIX)
↓↓↓
SVID(AT&T System V Interrace Definition)
유닉스 벤더들은 호환성 있는 유닉스 시스템을 만듬
GNU와 무료 UNIX
1984년 Richard M. Stallman
www.gnu.org : GNU is Not UNIX
FSF(Free Software Foundation)설립
유닉스를 무료로 배포할 수 있도록 유닉스 코드 전체를 다시 작성하기로 함.
-두 명으로 시작한 프로젝트는 나중에 수천 수백만명이 참여하는 프로젝트로 성장하게 됨.
- 기존 코드의 재 작성을 넘어서 기존 코드 보다 안정화된 버전이 만들어 지기도 함
http://directory.fsf.org/wiki/GNU Unix Util
문제 => 유닉스는 크게 따지면 유닉스 core에 해당되는 커널(kernel) 부분과 커널 위에서 돌아가는
유틸리티(utility)들이 있는데 유틸리티는 수많은 개발자들 해커들이이 모여서 좋은 결과물로 만들었는데,
http://www.gnu.org/software/hurd/ Unix kernel
커널을 만들기가 힘들었다. 커널을 만들 수 없어서 한동안 정체가 된다.
무료 유닉스의 시작과 리눅스
1991년 8월 25일 comp.os.minix 뉴스그룹에 Linus Torvalsd가 올린 글
유닉스라고 하면, 여러사람이 사용하고 여러 프로세스가 돌아 가기 때문에, CPU성능이 굉장히 좋아야 한다. 그당시에 CPU라고 하면, Unix machine에서는 일반 데스크탑에서 사용하는 intel CPU를 사용하지 않고,Unix machine은 거기에 맞게 리스크 칩 이라고 하는 성능좋은 칩을 쓰고 있었는데, 당시 일반데스크 탑에서사용하는 intel CPU는 멀티프로세스가 불가능했다. 그러다보니 멀티 유저를 감당할 수 있는 CPU 환경이 아니었는데 80286이라고 하는 넘버링을 가진 CPU가 나오면서 부터 거기에 아키텍쳐가 바뀌었다.성능이 좋아졌고 멀티프로세스가 가능한 형태가 되었다.
그래서Linus Torvalsd가 생각한것이 자신이 가진 intel CPU에서 Unix machine에서만 돌아가는 Unix OS가 돌아 갈 수있을까? unix 계정이 가지는 admin의 강력함을 만끽하고 싶었다.
[출처 - 유튜브 뉴렉쳐 리눅스 강의 5강 오픈소스 유닉스의 탄생]
'CS지식 > 운영체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버 기술 기초 요약 - 리눅스 쉘 사용법 이해 1 (0) 2022.04.30 리눅스5-쉘과 프롬프트 (0) 2022.01.12 리눅스4-우분투 설치(서버 버전) (0) 2022.01.12 리눅스3-Virtual Box 설치하기 (0) 2022.01.11 리눅스1 - 본격적인 학습에 앞서 (0) 2022.0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