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BeanFactory와 ApplicationContextFrameWork/Spring&Spring-boot 2022. 1. 9. 17:14
- beanFactory와 ApplicationContext에 대해서 알아 보자
*BeanFactory*
- 스프링 컨테이너의 최상위 인터페이스다.
- 스프링 빈을 관리하고 조회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 'getBean( )'을 제공한다.
- 지금까지 우리가 사용했던 대부분의 기능은 BeanFactory가 제공하는 기능이다.
*ApplicationContect*
- BeanFactory 기능을 모두 상속받아서 제공한다.
- 빈을 관리하고 검색하는 기능을 BeanFactory가 제공해주는데, 그러면 둘의 차이가 뭘까?
-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는 빈을 관리하고 조회하느 기능은 물론이고, 수 많은 부가기능이 필요하다.
*ApplicationContext가 제공하는 부가 기능*
- 메시지소스를 활용한 국제화 기능
예를들어서 한국에서 들어오면, 한국어로,영어권에서 들어오며 영어로 출력
+파일을 여러개 분리해 둔 것 message_ko로하면, 한글 파일을 쭉 납두고,
message_en하면, 영어로 쫙 적어 두고. MessageSource통한 정보 구별
- 환경변수
로컬, 개발, 운영 등을 구분해서 처리
+ 개발환경 : 테스트 서버에 올려서 여러system을 엮어서, 실제 test서버에 띄어두고, test할 수 있는 test서버
운영환경 : 실제 프로덕션으로 나가는 환경
스테이징 환경 : 운영과 가장 밀접한 환경을 만들기도 한다.
+환경별로 어떤 데이터 베이스에 연결해야 할지 환경변수를 설정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 애플리케이션 이벤트
이벤트를 발생하고 구독하는 모델을 편리하게 지원
- 편리한 리소스 조회
파일,클래스패스,외부 등에서 리소스를 편리하게 조회
+외부에서 파일같은 것을 읽어 들여서 내부에서 사용할때 이것을 추상화 해서 편리하게 쓸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위에 그림에 나열된 부가 기능들은 보통일반 적인 애플리케이션 만들때는 필요한 공통기능이다.
BeanFactory에 이런 부가 기능 들을 더해서 ApplicationContext로 제공하는 것이다.
*정리*
- ApplicationContext는 BeanFactory의 기능을 상속받는다.
- ApplicationContext는 빈 관리기능 + 편리한 부가 기능을 제공한다.
- BeanFactory를 직접 사용하는일은 거의 없다. 부가기능이 포함되 ApplicationContext를 사용한다.
- BeanFactory나 ApplicationContext를 스프링컨테이너라고 한다.
[출처 : 김영한. 스프링 핵심 원리-기본편. 인프런]
'FrameWork > Spring&Spring-boo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프링 빈 설정 메타 정보 - BeanDefinition (0) 2022.01.10 다양한 설정 형식 지원 - 자바 코드, XML (0) 2022.01.09 스프링 빈 조회-상속관계 (0) 2022.01.02 스프링 빈 조회 - 동일한 타입이 둘 이상 (0) 2022.01.01 스프링 빈 조회 - 기본☆ (0) 2022.0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