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Spring 기본 31 - 빈 등록 초기화, 소멸 메서드FrameWork/Spring&Spring-boot 2023. 11. 29. 11:31
빈 등록 초기화, 소멸 메서드 설정 정보에 `@Bean(initMethod = "init", destroyMethod = "close")`처럼 초기화, 소멸 메서드를 지정할 수 있다. *설정 정보를 사용하도록 변경* package com.hello.core.lifecycle;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pplicationContext;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ConfigurableApplicationContext;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 impo..
-
Spring 기본 30 - 인터페이스 IntializingBean, DisposableBeanFrameWork/Spring&Spring-boot 2023. 11. 29. 11:03
인터페이스 InitializingBean, DisaposableBean NetworkClient implements InitializingBean, DisposableBean package com.hello.core.lifecycle;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DisposableBean;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InitializingBean; public class NetworkClient implements InitializingBean, DisposableBean{ private String url; public NetworkClient() { System.out.println("생성자 호출 , url ..
-
Spring 기본 29 - 빈 생명주기 콜FrameWork/Spring&Spring-boot 2023. 11. 29. 10:27
빈 생명주기 콜백 시작 데이터베이스 커넥션 풀이나, 네트워크 소켓처럼 애플리케이션 시작 시점에 필요한 연결을 미리 해두고, 애플리케이션 종료 시점에 연결을 모두 종료하는 작업을 진행하려면, 객체의 초기화와 종료 작업이 필요하다. 스프링을 통해 이러한 초기화 작업과 종료 갑업을 어떻게 진행하는지 예제로 알아보자. 간단하게 외부 네트위크에 미리 연결하는 객체를 하나 생성한다고 가정해보자. 실제오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것은 아니고, 단순히 문자만 출력하도록 했다. 이 `NetworkClient`는 애플리케이션 시작 시점에 connect()를 호출해서 연결을 맺어두어야 하고, 애플리케이션이 종료되면 `disConnect()`를 호출해서 연결을 끊어야 한다. 예제 코드, 테스트 하위에 생성 package com.h..
-
Spring 기본 28 - 자동, 수동 올바른 실무 운영 기준FrameWork/Spring&Spring-boot 2023. 11. 28. 15:50
자동, 수동의 올바른 실무 운영 기준 편리한 자동 기능을 기본으로 사용하자 그러면 어떤 경우에 컴포넌트 스캔과 자동 주입을 사용하고, 어떤 경우에 설정 정보를 통해서 수종으로 빈을 등록하고, 의존관계도 수동으로 주입해야 할까? 결론부터 이야기하면, 스프링이 나오고 시간이 갈 수록 점점 자동으로 선호하는 추세다. 스프링은 `@Component` 뿐만 아니라 `@Controller`, `@Service`, `@Repository` 처럼 계층에 맞추어 일반적인 애플리케이션 로직을 자동으로 스캔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거기에 더해서 최근 스프링 부트는 컴포넌트 스캔을 기본으로 사용하고, 스프링 부트의 다양한 스프링 빈들도 조건이 맞으면 자동으로 등록하도록 설계하였다. 설정 정보를 기반으로 애플리케이션을 구성하는..
-
Spring 기본 27 - 조회한 빈이 모두 필요할 때, List,MapFrameWork/Spring&Spring-boot 2023. 11. 28. 14:50
조회한 빈이 모두 필요할 때, List,Map 의도적으로 정말 해당 타입의 스프링 빈이 다 필요한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서 할인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클라이언트가 할인의 종류(rate,fix)를 선택할 수 있다고 가정해 보자. 스프링을 사용하면 소위 말하는 전략 패턴을 매우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다. AllBeanTest package com.hello.core.autowired; import com.hello.core.AutoAppConfig; import com.hello.core.discount.DiscountPolicy; import com.hello.core.member.Grade; import com.hello.core.member.Member; import org.junit.jupiter...
-
스프링 DB - 트랜잭션 문제 해결(트랜잭션 템플릿)Data Base/스프링 DB 2023. 11. 28. 13:50
트랜잭션 문제 해결(트랜잭션 템플릿) 트랜잭션을 사용하는 로직을 살펴보녕 다음과 같은 패턴이 반복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트랜잭션 사용 코드 TransactionStatus status = transactionMnager.getTransaction(new DefaultTransactionDefinition()); try{ //비지니스 로직 bizLogic(fromId,toId,money); //성공시 커밋 transactionManager.commit(status); }catch(Exception e){ //실패시 롤백 transactionManager.rollback(status); throw new IlleagalStateException(e); } 트랜잭션을 시작하고, 비지니스 로직을 실행하고,..
-
스프링 DB - 트랜잭션 문제 해결(트랜잭션 매니저2)Data Base/스프링 DB 2023. 11. 28. 11:49
트랜잭션 문제 해결 - 트랜잭션 매니저2 트랜잭션 매니저1 - 트랜잭션 시작 클라이언트의 요청으로 서비스 로직을 실행한다. 1.서비스 계층에서 `transactionManager.getTransaction( )`을 호출해서 트랜잭션을 시작한다. 2.트랜잭션을 시작하려면 먼저 데이터베이스 커넥션이 필요하다. 트랜잭션 매니저는 내부에서 데이터 소스를 사용해서커넥션을 생성한다. 3.커넥션을 수동 커밋모드로 변경해서 실제 데이터베이스 트랜잭션을 시작한다. 4.커넥션을 트랜잭션 동기화 매니저에 보관한다. 5.트랜잭션 동기화 매니저는 쓰레드 로컬에 커넥션을 보관한다. 따라 멀티 쓰레드 환경에서 안정하게 커넥션을 보관할 수 있다. 트랜잭션 매니저2 - 로직 실행 6.서비스는 비지니스 로직을 실행하서 리포지토리의 메서..
-
스프링 DB - 트랜잭션 문제 해결(트랜잭션 매니저1)Data Base/스프링 DB 2023. 11. 28. 10:58
트랜잭션 문제 해결(트랜잭션 매니저1) MemberRepositoryV3 package hello.jdbc.repository; import hello.jdbc.domain.Member; import lombok.extern.slf4j.Slf4j; import org.springframework.jdbc.datasource.DataSourceUtils; import org.springframework.jdbc.support.JdbcUtils; import javax.sql.DataSource; import java.sql.*; import java.util.NoSuchElementException; /** * 트랜잭션 - 트랜잭션 매니저 * DataSourceUtils.getConnection() * 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