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리눅스5-쉘과 프롬프트CS지식/운영체제 2022. 1. 12. 13:21
쉘(Shell) 이란 OS와 사용자가 상호작용하기 위해서 사용자와 OS사이의 하나의 층을 만들게 되는데, 이 것을 쉘이라고 한다. 윈도우즈도 쉘이 있는데 탐색기가 그런 역할을한다. 윈도우즈 같은 경우에는 쉘이 두개 이다. 윈도우 탐색기도 하나의 쉘이고, 또 하나는 cmd(command)로 이것도 또하나의 쉘이다. OS는 쉘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어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할 것인지를 입력 받게된다. 리눅스의 경우 그때 shell은 명령프롬프트 상에서 사용될 수 있는 쉘의 종류가 많다. Shell의 종류 bash shell : Bourn Again Shell - Stephen Bourne 최초의 유닉스 쉘인 Bourne Shell과 호환되도록 만들어진 쉘 csh : C shell BSD 계열 유닉스 사용자들이..
-
리눅스4-우분투 설치(서버 버전)CS지식/운영체제 2022. 1. 12. 11:16
설정(S)라고 쓰여진 것 위에 주황색 톱니바퀴 아이콘을 클릭한다. 설정창이 뜨면 왼쪽의 [저장소] 아이콘을 클릭해서 저장소 탭을 열고, 컨트롤러 : IDE에 https://releases.ubuntu.com/18.04/ 에서 다운 받은 ubuntu-18.04.6-live-server-amd64.ios 가상 cd를 넣어 준다. 그 다음 처음 화면을로 돌아가서 Linux Server를 켜준다. 부팅하는 과정에서 가상 cd롬에 있는 내용을 가지고 os가 설치된다. 설치가 정상적으로 되고 있는 모습이다. keyboard layout을 한국어로 설정해 준다. 이더넷의 환경을 보여주는 창이 뜬다. DHCP 서버에 의해서 virthual Box 가 제공해준 것으로, 인터넷을 쓸수 있는 아이피를 부여받았다. mirro..
-
리눅스3-Virtual Box 설치하기CS지식/운영체제 2022. 1. 11. 19:06
Virtual Box : 무료면서, 사용이 편리, 가상머신을 만들 수 있는 도구로서 사용가능 하다. 플랫폼도 따지지 않는다. 가상 컴퓨터를 만들 수 있는 유틸리티가 생성되었다. [새로 만들기]클릭 버전은 Ubuntu(64-bit) 를 선택해 준다. 그 다음은 실제 가지고 있는 컴퓨터에서 때어내어 가상 컴퓨터에서 사용할 물리적인 메모리를 나누어 주는 단계이다. 그전에 작업관리자를 열어서 나의 컴퓨터가가진 총 메모리와 현재 사용중인 메모리를 확인한다. 15.8GB에 62%를 사용하고 있다. 여유 메모리가 6GB 정도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적당히 2048MB를 할당한다. 새로운 가상 하드디스크를 만들면서 하드디스크의 사이즈를 정해야 하는데(바로 이 다음단계), 그때 정한 고정크기로 사용할 것인지 아니..
-
@Configuration과 싱글톤FrameWork/Spring&Spring-boot 2022. 1. 11. 16:59
그런데 이상한점이 있다. 다음 AppConfig 코드를 보자 @Configuration public class AppConfig { //@Bean memberService -> new MemoryMemberRepository() //@Bean orderService -> new Memory/memberRepository() @Bean public MemberService memberService() { return new MemberServiceImpl(memberRepository()); } @Bean public OrderService orderService() { return new OrderServiceImpl(memberRepository(), discountPolicy()); } @Bean p..
-
싱글톤 방식의 주의점FrameWork/Spring&Spring-boot 2022. 1. 11. 14:22
싱클톤 패턴이든, 스프링 같은 싱글톤 컨테이너를 사용하든, 객체 인스턴스를 하나만 생성해서, 공유하는 싱글톤 방식은 여러 클라이언트가 하나의 같은 객체 인스턴스를 공유하기 때문에 싱글톤 객체는 상태를 유지(stateful)하게 설계하면 안된다. 무상태(stateless)로 설계해야 한다. - 특정 클라이언트에 의존적인 필드가 있으면 안된다. - 특정 클라이언트가 값을 변경할 수 있는 필드가 있으면 된다. - 가급적 읽기만 가능해야 한다.(가급적 값을 수정하면 안된다.) - 필드 대신에 자바에서 공유되지 않는, 지역변수, 파라미터, ThreadLocal 등을 사용해야 한다. 스프링 빈의 필드에 공유 값을 설정하면 정말 큰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상태를 유지할 경우 발생하는 문제점 예시* @Test vo..
-
싱글톤 컨테이너FrameWork/Spring&Spring-boot 2022. 1. 10. 18:28
스프링 컨테이너는 싱글톤 패턴의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객체 인스턴스를 싱글톤(1개만 생성)으로 관리한다. 지금까지 우리가 학습한 스프링빈이 바로 싱글톤으로 관리되는 빈이다. 싱글톤 컨테이너 스프링 컨테이너는 싱글톤 패턴을 적용하지 않아도, 객체 인스턴스를 싱글톤으로 관리한다. - 이전에 설명한 컨테이너는 생성 과정을 자세히 보자 컨테이너는 객체를 하나 생성해서 관리한다. 스프링 컨테이너는 싱글톤 컨테이너 역할을 한다. 이렇게 싱글톤 객체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싱글톤 레지스트리라 한다. 스프링 컨테이너의 이런 기능 덕분에 싱글턴 패턴의 모든 단점을 해결하면서 객체를 싱글톤으로 유지할 수 있다. - 싱글톤 패턴을 위한 지저분한 코드가 들어가지 않아도 된다. - DIP, OCP, 테스트 private 생..
-
싱글톤 패턴FrameWork/Spring&Spring-boot 2022. 1. 10. 16:28
클래스의 인스턴스가 딱 1개만 생성되는 것을 보장하는 디자인 패턴이다. +한 JVM 즉 하나의 java 서버 안에서는 객체 인스턴스가 딱 하나만, 생성 되도록 하는 것 그래서 객체 인스턴스를 2개 이상 생성하지 못하도록 막아야 한다. private생성자를 사용해서 외부에서 임의로 new 키워드르 사용하지 못하도록 막아야 한다. public class SingletonService { private static final SingletonService instance = new SingletonService(); } static을 붙여서 필드 변수로 만들면, class 레벨에 올라가기 때문에, 딱 하나만 존재 하게 된다. public class SingletonService { private static ..
-
싱클톤 컨테이너FrameWork/Spring&Spring-boot 2022. 1. 10. 14:17
해당 객체 인스턴스가 나의 JVM안에 하나만 있어야 한다. 웹 애플리케이션과 싱글톤 스프링은 태생이 기업용 온라인 서비스 기술을 지원하기 위해 탄생했다. 대부분 스프링 애플리케이션은 웹 애플리케이션이다. 물론 앱이 아닌 애플리케이션 개발도 얼마든지 할 수 있다. 웹 애플리케이션은 보통 여려 고객이 동시에 요청을 한다. 웹 어플리케이션은 요청이 올때 마다 계속 뭔가 객체를 만들어야 한다. public class SingletonTest { @Test @DisplayName("스프링 없는 순수한 DI 컨테이너") void pureContainer(){ AppConfig appConfig = new AppConfig(); //1. 조회 : 호출할 때 마다 객체를 생성 MemberService memberS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