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 Base/관계형 데이터 모델링
-
엔티티간의 연결Data Base/관계형 데이터 모델링 2021. 12. 30. 08:26
-Relationship은 PK와 FK가 연결되는 것을 통해서 실제로 구현된다. Cardinality Optionality 두개의 표는 추후에 join으로 연결 될 것이다. 이때 Cardinality를 따져 보려면, ->담임에게 반은 몇개인가 ->반에게 담임은 몇개인가를 따져봐야 한다. 각 선생님은 한 반만 담임한다. / 각반의 담임은 한명이다. 1:1관계 각 저자는 여러개의 글을 작성 할수 있다. / 각 댓글은 하나의 저자만 존재한다. 1:n 관계 저자는 여러개의 글을 작성 할수 있다. / 각 글은 여러저자가 존재한다. N:M 관계 - 다대다의 관계는 현실의 database 세계에서는 표현 할 수 없기 때문에, 이것은 그대로 두지 않고, 중간에 연결 테이블이라는 특별한 테이블을 만들어서, 최종적으로는 ..
-
개념적 데이터 모델링Data Base/관계형 데이터 모델링 2021. 12. 30. 03:18
ERD의 관점 3가지 정보 그룹 : 정보들을 그룹핑 관계 : 정보그룹 사이의 관계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특징 -RDB는 내포관계를 허용하지 않습니다. -거대 단일 테이블로 표현을 하면 중복이 발생합니다. "글은 저자 누가 작성했는가 저자에 대한 이름과 소개까지 표함되었으면 좋겠다." ->RDB에서는 join이라는 메커니즘을 통해서 언제든지 순간순간 합성해 낼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포함관계가 아니가 좀 더 수평적인 관계로 개념들을 뽑아 내는 것이 더 적절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