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ameWork/Spring&Spring-boot
-
Spring 기본 35 - 프로토타입 스코프 (싱글톤 빈과 함께 사용시 문제점)FrameWork/Spring&Spring-boot 2023. 11. 30. 09:56
프로토타입 스코프(싱글톤 빈과 함께 사용시 문제점) 스프링 컨테이너에 프로토타입 스코프빈을 요청하면 항상 새로운 객체 인스턴스를 생성해서 반환한다. 하지만 싱클톤 빈 과 함께 사용할 때는 의도한 대로 잘 동작하지 않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먼저 스프링 컨테이너에 프로토타입 빈을 직접 요청하는 예제를 보자 프로토타입 빈 직접 요청 스프링 컨테이너에 프로토타입 빈 직접 요청1 1. 클라이언트A는 스프링 컨테이너에 프로토타입 빈을 요청한다. 2. 스프링 컨테이너는 프로토타입 빈을 새로 생성해서 반환(x01)한다. 해당 빈의 count 필드 값은 0이다. 3. 클라이언트는 조회한 프로토타입 빈에 `addCount()`를 호출하면서 count 필드에 +1한다. 결과적으로 프로토타입 빈(x01)의 count는 1이된..
-
Spring 기본 34 - 프로토타입 스코프FrameWork/Spring&Spring-boot 2023. 11. 29. 14:40
프로토타입 스코프 싱글톤 스코프의 빈을 조회하면 스프링 컨테이너는 항상 같은 인스턴스의 스프링 빈을 반환한다. 반면 프로토 타입 스코프를 스프링 컨테이너에 조회하면 스프링 컨테이너는 항상 새로운 인스턴스를 생성해서 반환한다. 싱글톤 빈 요청 1. 싱글톤 스코프의 빈을 스프링 컨테이너에 요청한다. 2. 스프링 컨테이너는 본인이 관리하는 스프링 빈을 반환한다. 3. 이후에 스프링 컨테이너에 같은 요청이 와도 같은 객ㅊ체 인스턴스의 스프링 빈을 반환한다. 프로토타입 빈 요청1 1.프로토타입 스코프의 빈을 스프링 컨테이너에 요청한다. 2.스프링 컨테이너는 이 시점에 프로토타입 빈을 생성하고, 필요한 의존관계를 주입한다. 프로토타입 빈 요청2 3.스프링 컨테이너는 생성한 프로토타입 빈을 클라이언트에 반환한다. 4..
-
Spring 기본 33 - 빈 스코프FrameWork/Spring&Spring-boot 2023. 11. 29. 12:09
빈 스코프란? 지금까지는 스프링 빈이 스프링 컨테이너의 시작과 함께 생성되어 스프링 컨테이너가 종료 될 때 까지 유지한다고 학습하였다. 이것은 스프링 빈이 기본적으로 싱글톤 스코드로 생성되기 때문이다. 스코프는 번역 그대로 빈이 존재할 수 있는 범위(시간적 개념)를 뜻한다. 스프링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스코프를 지원한다. 싱글톤 : 기본 스코프, 스프링 컨테이너의 시작과 종료까지 유지되는 가장 넓은 범위의 스코프이다. 프로토타입 : 스프링 컨테이너는 프로토타입 빈의 생성과 의존관계 주입까지만 관여하고 더는 관리하지 않는 매우 짧은 범위의 스코프이다. 스프링 빈에 대한 요청이 오면 스프링 컨테이너가 해당 객체 인스턴스를 만든다. 의존관계 주입과 초기화 메서드까지 호출을 한다. 마지막으로 요청한 클라이언트에..
-
Spring 기본 32 - 애노테이션 @PostConstruct,@PreDestoryFrameWork/Spring&Spring-boot 2023. 11. 29. 11:51
애노테이션 @PostConstruct, @PreDestory NetworkClient package com.hello.core.lifecycle; import javax.annotation.PostConstruct; import javax.annotation.PreDestroy; public class NetworkClient { private String url; public NetworkClient() { System.out.println("생성자 호출 , url = "+ url); connect(); call("초기화 연결 메시지"); } public void setUrl(String url) { this.url = url; } //서비스 시작시 호출 public void connect(){ Sys..
-
Spring 기본 31 - 빈 등록 초기화, 소멸 메서드FrameWork/Spring&Spring-boot 2023. 11. 29. 11:31
빈 등록 초기화, 소멸 메서드 설정 정보에 `@Bean(initMethod = "init", destroyMethod = "close")`처럼 초기화, 소멸 메서드를 지정할 수 있다. *설정 정보를 사용하도록 변경* package com.hello.core.lifecycle;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pplicationContext;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ConfigurableApplicationContext;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 impo..
-
Spring 기본 30 - 인터페이스 IntializingBean, DisposableBeanFrameWork/Spring&Spring-boot 2023. 11. 29. 11:03
인터페이스 InitializingBean, DisaposableBean NetworkClient implements InitializingBean, DisposableBean package com.hello.core.lifecycle;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DisposableBean;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InitializingBean; public class NetworkClient implements InitializingBean, DisposableBean{ private String url; public NetworkClient() { System.out.println("생성자 호출 , url ..
-
Spring 기본 29 - 빈 생명주기 콜FrameWork/Spring&Spring-boot 2023. 11. 29. 10:27
빈 생명주기 콜백 시작 데이터베이스 커넥션 풀이나, 네트워크 소켓처럼 애플리케이션 시작 시점에 필요한 연결을 미리 해두고, 애플리케이션 종료 시점에 연결을 모두 종료하는 작업을 진행하려면, 객체의 초기화와 종료 작업이 필요하다. 스프링을 통해 이러한 초기화 작업과 종료 갑업을 어떻게 진행하는지 예제로 알아보자. 간단하게 외부 네트위크에 미리 연결하는 객체를 하나 생성한다고 가정해보자. 실제오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것은 아니고, 단순히 문자만 출력하도록 했다. 이 `NetworkClient`는 애플리케이션 시작 시점에 connect()를 호출해서 연결을 맺어두어야 하고, 애플리케이션이 종료되면 `disConnect()`를 호출해서 연결을 끊어야 한다. 예제 코드, 테스트 하위에 생성 package com.h..
-
Spring 기본 28 - 자동, 수동 올바른 실무 운영 기준FrameWork/Spring&Spring-boot 2023. 11. 28. 15:50
자동, 수동의 올바른 실무 운영 기준 편리한 자동 기능을 기본으로 사용하자 그러면 어떤 경우에 컴포넌트 스캔과 자동 주입을 사용하고, 어떤 경우에 설정 정보를 통해서 수종으로 빈을 등록하고, 의존관계도 수동으로 주입해야 할까? 결론부터 이야기하면, 스프링이 나오고 시간이 갈 수록 점점 자동으로 선호하는 추세다. 스프링은 `@Component` 뿐만 아니라 `@Controller`, `@Service`, `@Repository` 처럼 계층에 맞추어 일반적인 애플리케이션 로직을 자동으로 스캔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거기에 더해서 최근 스프링 부트는 컴포넌트 스캔을 기본으로 사용하고, 스프링 부트의 다양한 스프링 빈들도 조건이 맞으면 자동으로 등록하도록 설계하였다. 설정 정보를 기반으로 애플리케이션을 구성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