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ameWork
-
Nest.js Api만들기 2 (Controller)FrameWork/Nest.js 2022. 6. 16. 14:51
Controller Nest.js 어플리케이션은 main.ts 파일에서 시작한다. 위 그림은 코드 처럼 하나의 모듈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생성한다. AppModule은 모든 것의 root module같은 것이다. module은 어플리케이션의 일부분이다. 한가지 역학을 하는 앱으로도 볼 수가 있는데, 예) users 모듈 - 인증을 담당하는 어플리케이션 photos 모듈 - 사진을 담당하는 어플리케이션 videos 모듈 - 비디오를 담당하는 어플리케이션 controller url을 가져오고 함수를 실행하는 것이다. express의 라우터 같은 존재이다. controller의 특정 함수에 @Get 이 붙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express의 라우터 역할을 한다. controller는 url로 요청을 받는..
-
Nest.js Api만들기 1(Project Setup,Overview)FrameWork/Nest.js 2022. 6. 16. 11:36
Project Setup npm i -g @nestjs/cli nest new git init git Nest.js가 구성한 Project Architecture에서 제공하는 것 nest-cli.json package.json "script" "dependencies" , "devDependencies" test, main, service, module, controller 모든 것이 제대로 작동하는지 테스트하기 위해서, package.json을 확인해 보자 > npm run start:dev 명령어로 인해 Nest.js가 시작 될 것이다. 위 와 같은 log가 뜨면서 해당 프로젝트가 정상적으로 동작 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Nest.js 프로젝트를 생성할 때 지정되는 기본 port인 3000을 통해 접..
-
@Configuration과 싱글톤FrameWork/Spring&Spring-boot 2022. 1. 11. 16:59
그런데 이상한점이 있다. 다음 AppConfig 코드를 보자 @Configuration public class AppConfig { //@Bean memberService -> new MemoryMemberRepository() //@Bean orderService -> new Memory/memberRepository() @Bean public MemberService memberService() { return new MemberServiceImpl(memberRepository()); } @Bean public OrderService orderService() { return new OrderServiceImpl(memberRepository(), discountPolicy()); } @Bean p..
-
싱글톤 방식의 주의점FrameWork/Spring&Spring-boot 2022. 1. 11. 14:22
싱클톤 패턴이든, 스프링 같은 싱글톤 컨테이너를 사용하든, 객체 인스턴스를 하나만 생성해서, 공유하는 싱글톤 방식은 여러 클라이언트가 하나의 같은 객체 인스턴스를 공유하기 때문에 싱글톤 객체는 상태를 유지(stateful)하게 설계하면 안된다. 무상태(stateless)로 설계해야 한다. - 특정 클라이언트에 의존적인 필드가 있으면 안된다. - 특정 클라이언트가 값을 변경할 수 있는 필드가 있으면 된다. - 가급적 읽기만 가능해야 한다.(가급적 값을 수정하면 안된다.) - 필드 대신에 자바에서 공유되지 않는, 지역변수, 파라미터, ThreadLocal 등을 사용해야 한다. 스프링 빈의 필드에 공유 값을 설정하면 정말 큰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상태를 유지할 경우 발생하는 문제점 예시* @Test vo..
-
싱글톤 컨테이너FrameWork/Spring&Spring-boot 2022. 1. 10. 18:28
스프링 컨테이너는 싱글톤 패턴의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객체 인스턴스를 싱글톤(1개만 생성)으로 관리한다. 지금까지 우리가 학습한 스프링빈이 바로 싱글톤으로 관리되는 빈이다. 싱글톤 컨테이너 스프링 컨테이너는 싱글톤 패턴을 적용하지 않아도, 객체 인스턴스를 싱글톤으로 관리한다. - 이전에 설명한 컨테이너는 생성 과정을 자세히 보자 컨테이너는 객체를 하나 생성해서 관리한다. 스프링 컨테이너는 싱글톤 컨테이너 역할을 한다. 이렇게 싱글톤 객체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싱글톤 레지스트리라 한다. 스프링 컨테이너의 이런 기능 덕분에 싱글턴 패턴의 모든 단점을 해결하면서 객체를 싱글톤으로 유지할 수 있다. - 싱글톤 패턴을 위한 지저분한 코드가 들어가지 않아도 된다. - DIP, OCP, 테스트 private 생..
-
싱글톤 패턴FrameWork/Spring&Spring-boot 2022. 1. 10. 16:28
클래스의 인스턴스가 딱 1개만 생성되는 것을 보장하는 디자인 패턴이다. +한 JVM 즉 하나의 java 서버 안에서는 객체 인스턴스가 딱 하나만, 생성 되도록 하는 것 그래서 객체 인스턴스를 2개 이상 생성하지 못하도록 막아야 한다. private생성자를 사용해서 외부에서 임의로 new 키워드르 사용하지 못하도록 막아야 한다. public class SingletonService { private static final SingletonService instance = new SingletonService(); } static을 붙여서 필드 변수로 만들면, class 레벨에 올라가기 때문에, 딱 하나만 존재 하게 된다. public class SingletonService { private static ..
-
싱클톤 컨테이너FrameWork/Spring&Spring-boot 2022. 1. 10. 14:17
해당 객체 인스턴스가 나의 JVM안에 하나만 있어야 한다. 웹 애플리케이션과 싱글톤 스프링은 태생이 기업용 온라인 서비스 기술을 지원하기 위해 탄생했다. 대부분 스프링 애플리케이션은 웹 애플리케이션이다. 물론 앱이 아닌 애플리케이션 개발도 얼마든지 할 수 있다. 웹 애플리케이션은 보통 여려 고객이 동시에 요청을 한다. 웹 어플리케이션은 요청이 올때 마다 계속 뭔가 객체를 만들어야 한다. public class SingletonTest { @Test @DisplayName("스프링 없는 순수한 DI 컨테이너") void pureContainer(){ AppConfig appConfig = new AppConfig(); //1. 조회 : 호출할 때 마다 객체를 생성 MemberService memberSer..
-
스프링 빈 설정 메타 정보 - BeanDefinitionFrameWork/Spring&Spring-boot 2022. 1. 10. 13:05
스프링은 어떻게 이런 다양한 설정 형식을 지원하는 것일까? 그 중심에는 'BeanDefinition'이라는 추상화가 았다. 쉽게 이야기 해서 *역할과 구현을 개념적으로 나눈 것*이다. - XML을 읽어서 BeanDefinition을 만들면 된다. - 자바 코드를 읽어서 BeanDefinition을 만들면 된다. - 스프링 컨테이너는 자바코드인지,XML인지 몰라도 된다. 오직BeanDefinition만 알면 된다. 'BeanDefinition'을 빈 설정 메타 정보라 한다. - '@Bean', ''당 가가 하나씩 메타 정보가 생성된다. 스프링 컨테이너는 이 메타정보를 기반으로 스프링 빈을 생성한다. *코드 레벨로 조금 더 깊이 있게 들어가보자*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