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객체 지향 설계와 스프링FrameWork/Spring&Spring-boot 2021. 12. 28. 19:11
다시 스프링으로
스프링 이야기에 왜 객체 지향 이야기가 나오는가?
- 스프링은 다음 기술로 다형성 + OCP, DIP를 가능하게 지원
-DI(Dependency Injection):의존관계,의존성 주입
-DI 컨테이너를 제공
+클라이언트의 코드 변경없이, 기능을 확장 할 수 있다.(부품을 교체해서 끼워 넣을 수 있다.)
- 클라이언트 코드의 변경 없이 기능 확장
- 쉽게 부품을 교체하듯이 개발
+스프링은 다형성,OCP,DIP를 가능하게 해주는 기술
스프링이 없던 시절로
- 옛날 어떤 개발자가 좋은 객체 지향 개발을 하려고 OCP,DIP 원칙을 지키면서 개발을 해 보니, 너무 할일이 많았다. 배보다 배꼽이 더 큰 경우, 그래서 프레임워크로 만듬
- 순수하게 자바로 OCP,DIP 원칙들을 지키면서 개발을 해보면, 결굴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만들게 된다.(더 정확히는 DI 컨테이너)
- DI 개념은 말로 설명해도 이해가 잘 안된다. 코드로 짜봐야 필요성을 알게 된다!
- 그러면 이제 스프링이 왜? 만들어졌는지 코드로 이해해보자
정리
- 모든 설계에 역할과 구현을 분리하자
- 자동차,공연의 예를 떠올려보자.
- 애플리케이션 설계도 공연을 설계 하듯이 배역만 만들어두고, 배우는 언제든지 유연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만드는 거이 좋은 객체 지향 설계이다.
- 이상적으로는 모든 설계에 인터페이스를 부여하자
+객체들이 모두 인터페이스의 상속받은 class의 구현체로 개발이된다면, 어떠한 장점이 있느냐하면 ->
만약, 개발 당시 사용하게될 DB가 정해지지 않아도, 인터페이스만 정의해둔 채로 개발을 한다면 추후 DB를 선정하 는 것이 가능하다.즉, 하부 구현 기술에 대한 선택을 최대한 미뤄둘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 할인 정책이 앞으로 시행될 예정인데, 구체적인 사항이 정해지지 않았을 시 에도
간단한 인터페이스를 만들고 그것에 대한 간단한 구현체를 만들어서 개발을 진행 할 수 있다.
그다음, 개발도 중 에 기획이 정리가 되면, 기능을 확장하면 된다.
실무 고민
- 하지만 인터페이스를 도입하면 추상화라는 비용이 발생한다.
이상적으로는 인터페이스를 도입하는게 좋지만, 인터페이스를 무분별하게 남발하면, 추상화라는 비용이 발생한다.
이 비용은 성능에 대한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추상화가 되어 버리면, 개발자가 코드를 한번더 열어 봐야 한다.
예) Runtime때 여러 MemberRepository인터페이스 구현체 중에 어떤 것을 사용할지 선택 되는 경우도 존재한다.
그럴때, 코드 상으로는 인터페이스가 무엇 인지 만 보이이므로 구현 class가 무엇 인지 알 수 없다.
그렇기 때문에 어떤 기술이던 장점이 단점을 넘어 설 때만 사용한다.
- 기능을 확장할 가능성이 없다면, 구체 클래스를 직접 사용하고, 향후 꼭 필요할 때 리팩터링해서 인터페이스를 도입하는 것도 방법이다.
[출처 : 김영한. 스프링 핵심 원리-기본편. 인프런]
'FrameWork > Spring&Spring-boot'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원 도메인 개발 (0) 2021.12.29 회원 도메인 설계 (0) 2021.12.29 SOLID (0) 2021.12.28 좋은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이란? 2 (0) 2021.12.28 스프링 이란 2 (0) 2021.12.28